전체 글 (99) 썸네일형 리스트형 CDD란? 🤔 CDD란 CDD란 Component Driven Development의 약어로서 컴포넌트 기반으로 프로덕트를 개발하는 것을 말한다. 컴포넌트란 반복적이고 독립적이어서 어디든 붙일 수 있는 코드 묶음을 말한다. 예를 들면, 우리가 호텔을 만들때, 호텔방마다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챔대, 책상, 욕조 등은 모두 컴포넌트로 해둔다면, 매번 침대를 만들지 않고도 '침대' 컴포넌트를 복사해 원하는 곳에 끼워넣기만하면 되는 식이다. 🤔 CDD는 왜 필요한가 여기에 대해선 나의 웹에이전시의 퍼블리셔 시절 이야기를 한번 해보려고 한다. CDD가 꼭 필요한 순간을 너무 잘 대변하는 이야기 이기 때문이다. 성형외과 사이트를 제작하는데는 굉장히 많은 페이지가 필요하다. 사람들이 사이트에 들어와 어떤 수술이 가능한지 알아보.. isSubsetOf 문제풀이 문제: 두 개의 배열(base, sample)을 입력받아 sample이 base의 부분집합인지 여부를 리턴해야 합니다. 입력: 인자1 : base 인자1 : sample number 타입을 요소로 갖는 임의의 배열 base.length는 100 이하 number 타입을 요소로 갖는 임의의 배열 sample.length는 100 이하 출력: boolean 타입을 리턴해야 합니다. 주의사항: base, sample 내에 중복되는 요소는 없다고 가정합니다. 입출력 예시: let base = [1, 2, 3, 4, 5]; let sample = [1, 3]; let output = isSubsetOf(base, sample); console.log(output); // --> true sample = [6, 7.. bubbleSort 문제풀이 문제: 정수를 요소로 갖는 배열을 입력받아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리턴해야 합니다. 버블 정렬(bubble sort)은 여러 정렬 알고리즘(삽입 정렬, 퀵 정렬, 병합 정렬, 기수 정렬 등) 중 가장 기본적인 알고리즘입니다. 버블 정렬 알고리즘은 아래와 같습니다. 첫 번째 요소가 두 번째 요소보다 크면, 두 요소의 위치를 바꿉니다. (swap) 두 번째 요소와 세 번째 요소보다 크면, 두 요소의 위치를 바꿉니다. (swap) 1, 2를 마지막까지 반복합니다. (마지막에서 두 번째 요소와 마지막 요소를 비교) 1~3의 과정을 한 번 거치게 되면, 가장 큰 요소가 배열의 마지막으로 밀려납니다. 1~3의 과정을 첫 요소부터 다시 반복합니다. 5를 통해 두 번째로 큰 요소가 배열의 마지막 바로 두 번째로 밀려납니..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