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네트워크] 기초개념 -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 API
        ✌🏻 2-Tier 아키텍처 2티어 아키텍처(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는 리소스가 존재하는 곳(서버)과 리소스를 사용하는 앱(클라이언트)을 분리시킨 구조를 말한다. 🤟🏻 3-Tier 아키텍처 3티어 아키텍처는 리소스를 저장하는 곳(데이터베이스)과 리소스를 전달하는 곳(서버)과 리소스를 사용하는 앱(클라이언트)을 분리시킨 구조를 말한다. 👀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종류 클라이언트의 종류: iOS,안드로이드,스마트폰/태블릿/데스크탑 플랫폼 등 서버의 종류: 파일서버,웹서버,메일서버,데이터베이스 등 📍 요청과 응답, 그리고 프로토콜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리소스를 요청하고, 서버는 그 리소스를 주는 것으로 응답한다. 그리고 이런 요청과 응답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왔다갔다하는데 그게바로 HTTP라는 프로토콜이다. 그리..
          
        
        [HTTP/네트워크] 기초개념 -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 API
        ✌🏻 2-Tier 아키텍처 2티어 아키텍처(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는 리소스가 존재하는 곳(서버)과 리소스를 사용하는 앱(클라이언트)을 분리시킨 구조를 말한다. 🤟🏻 3-Tier 아키텍처 3티어 아키텍처는 리소스를 저장하는 곳(데이터베이스)과 리소스를 전달하는 곳(서버)과 리소스를 사용하는 앱(클라이언트)을 분리시킨 구조를 말한다. 👀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종류 클라이언트의 종류: iOS,안드로이드,스마트폰/태블릿/데스크탑 플랫폼 등 서버의 종류: 파일서버,웹서버,메일서버,데이터베이스 등 📍 요청과 응답, 그리고 프로토콜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리소스를 요청하고, 서버는 그 리소스를 주는 것으로 응답한다. 그리고 이런 요청과 응답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왔다갔다하는데 그게바로 HTTP라는 프로토콜이다. 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