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99)
[javaScript] 배열 메서드 정리 & 배열의 반복문과 복사 배열이란 배열은 순서가 있는 값의 묶음을 말한다. 배열은 대괄화를 이용해서 만들며, 대괄호 내부의 순서(index)로 조회할 수 있다. 이때 index에 해당되는 value를 배열에서만 특화적으로 요소,혹은 원소(element)라고 부르기도 한다. 배열의 모양 배열은 다음과 같이 생겼다. let myArray = [32,45,33,52,12]; 요소는 예시처럼 숫자가 아니라, 문자,객체,배열 등 다양한 형태가 모두가능하다. 배열을 만드는 법 대괄호(square bracket)을 이용해서 만든다. 각각의 원소는 쉼표로 구분해준다. 배열을 조회하는 법 배열이름[index] let myNumber = [12,33,24,35,22] myNumber[1] //33 각각의 요소에 0부터 순서대로 매겨지는 index..
[javaScript] 과제로 얻은 여러가지 깨달음 정리 본 글은 코드스테이츠 프론트앤드 부트캠프의 koans 페어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기존에 알고 있던 사실에 추가로 알게된 사실들 + 까먹기 쉬운 사실들 위주로 정리하였다. 몇몇은 자료들을 찾아서 덧붙이기도 했다. 시간이 허락할 때 하나씩 주제별 글에 붙여넣거나, 따로 새로운 글을 작성하는 것..이 목표...이긴하다..🥴 1. 자바스크립트의 이상한 현상들만 모아놓은 저장소가 있다. wtfjs(what the f*ck javaScript)의 약자로, 예상치 못한 띠용! 스러운 자바스크립트 현상들을 모아 놓고, 왜 그런지 해석해보는 저장소가 있다. 재미로 보고, 되도록 값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용하는 걸 지향해야한다. 2. 자바스크립트 호이스팅 호이스팅 :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를 분리한 후, 선언..
[javaScript] spread와 rest, 그리고 구조분해할당 🧠자바스크립트가 획기적으로 편리해진 ES6 2015년에 출시된 ES6(ECMA Script6)에선 자바스크립트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문법이 많이 추가되었다. let, const, 템플릿 리터럴, 그리고 spread와 rest까지 모두 ES6버전에서 추가된 것들이라고 한다. ✂️Spread : '...array'로 배열을 푼다. 주로 배열을 풀어서 인자로 전달하거나, 배열을 풀어서 각각의 요소로 넣을 때에 사용한다. function sum(x, y, z) { return x + y + z; } const numbers = [1, 2, 3]; sum(...numbers) // 1+2+3 = 6 리턴 🧶Rest: '...parameter'로 배열로 묶는다. 파라미터를 배열의 형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