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념/기초지식

UI와 UX의 차이, 좋은 UX란 무엇일까?

💡 UI(user interface)란

 

용자 인터페이스(UI)란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게 될 때 마주하는 물리적, 비물리적 대면점이다.

 

예전에는 많았지만 지금은 없어진 휴대폰의 홈버튼, 혹은 휴대폰 옆쪽에 음량 및 전원버튼, 혹은 세탁기를 돌리기 위한 전원버튼 등등 버튼이 물리적으로 만들어져있고, 사용자가 그걸 사용하는 경우도 UI를 사용한다고 본다.

 

하지만 보통 우리가 UI 디자인이라고 생각하면 가장 보편적인 것이 바로 모바일이나 pc에서 화면으로 구현되는 인터페이스를 생각하는데, 예를들면 웹페이지나 사이트, 모바일 웹,키오스크 등등이 있다.이런 그래픽 UI를 특수하게 GUI(Graphic User Interface)라고 부른다.

 

 

🛑 따라서 UI는 물리적인터페이스와 비물리적 인터페이스를 모두 포함하며,

이 중 그래픽을 사용한 비물리적 인터페이스를 GUI라고 부른다.

 


🚴🏻‍♂️ UX(user Experience)란

 

사용자 경험(UX)란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직, 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총체적 경험을 말한다.

 

이때 "총체적"이라는 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호텔 예약 사이트라고 하면,

호텔을 광고해서 소비자가 들어오게되고,

중간에 서비스 센터에 전화해서 매끄럽게 답을 얻고,

예약 후엔 예약정보를 문자로 받아보고 편하게 체크인 하게 도와주는...

 

이 모든, 직간접적인 과정 전체가 UX로 묶인다.

 


🔗 UI와 UX의 관계성

 

경험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로 인한 경험 역시 고객이 서비스와 관련하여 겪는 일련의 경험중에 하나이다.

 

이미지 출처: https://devblogs.microsoft.com/premier-developer/ux-is-not-ui-but-ui-is-definitely-ux/

 

위의 이미지 자료를 보면, UX는 카피라이팅, 고객 타겟팅, 컨텐츠 조직화 등의 개념과 함께 interface를 포함하고 있다.

 

 

주의할 점은,

좋은 UI가 꼭 좋은 UX를 갖추고있다고 볼 수는 없으며,

반대로 좋은 UX가 좋은 UI를 의미하는 것도 아니라는 점이다.

 

출처: https://androidapps-development-blogs.medium.com/what-are-ui-and-ux-difference-between-ui-and-ux-ui-vs-ux-1615d06785aa

 

 

 

위의 그림이 이 UI가 좋다고 꼭 UX가 좋은것은 아니라는 점을 잘 보여준다.

하인즈 케첩이 비록 얄쌍하게 생긴 유리병에 담긴 모습이 예쁘다고 하더라도, 

유리병 케첩은 뒤집어 놓지 못하고 딱딱하기 때문에 실제로 짤 때에 애를 먹게된다.

캐첩을 뿌리려면 유리병을 몇번이나 위아래로 강하게 흔들어야할 것이다.

 

하지만 넓적한 플라스틱형 케이스는 비록 보기엔 투박해 보여도 뒤집어 놓기에도 안정적이며,

아래에 캐첩이 모여있기 때문에, 케이스를 누르면서 원하는 만큼 짜기가 간편하다.

 

국산 캐첩과 비교하면 UI와 UX, 모두의 압도적인 승리다

 

개인적으로 캐첩은 하인즈라고 생각하는 사람으로서!

넓쩍한 짜는 부분도 다른 국산 케첩에 비해 지저분하게 묻지 않아

조금 떨어지는 UI이더라고 좋은 UX가 두고두고 만족감을 주는 사례라고 말하고 싶다.

 


📌 좋은 UX 를 만드는 법

 

좋은 UX를 만들기 위해 무엇을 신경써야 하는가에 대해 유명한 모델이있다.

바로 피터 모빌(Peter Morville)의 벌집 모형이다.

  • USEFUL(유용성) - 사용 가능한가
  • USABLE(사용성) - 사용하기 쉬운가
  • DESIRABLE(매력성) - 매력적인가
  • CREDIBLE(신뢰성) - 신뢰할 수 있는가
  • ACCESSIBLE(접근성) - 접근하기 쉬운가
  • FINDABLE(검색가능성) - 찾기 쉬운가
  • VALUABLE(가치성) - 가치를 제공하는가

 

이 모델은 프로덕트의 제작에서도, 이미 존재하는 프로덕트를 평가할 때에도 아주 유용하다.

 

이 밖에도 제이콥 닐슨의 10가지 사용성 평가 기준도 존재한다. (링크)를 참조한다.

 


 

나쁜 UX는 고객을 떠나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