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념/기초지식

[HTTP/네트워크] Postman으로 OpenWeather API 정보 가져오기

🛠 HTTP API 테스트 도구

테스트를 위해 브라우저 상의 GET요청이 아닌 다른 요청을 보내려면

개발자 도구의 콘솔창에서 Web API fetch를 사용해야한다.

이때 매번 코드 작성 없이 HTTP 요청을 테스트할 수 있는 다양한 API 테스트 도구들이 있다.

이런 도구를 이용하면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서버 API를 테스트 할 수 있다.

 

(GET말고 POST같은 다른 메서드도 해주기 위해서 쓴다. )

 

CLI

  • curl (대부분의 리눅스 환경에 내장되어 있음)
  • wuzz

GUI


📮 Postman 기본 사용법

1. 가입하기

 

2. Workspaces > My Workspace

 

3. +탭 눌러 새로운 탭 만들고, 요청/응답을 여러 개 확인

 

4. API를 참고해서 필요한 정보를 넣는다.

아래는 get시 예시

아래는 post시 예시


🌦 Open Weather기본 사용법

open API인 openweather은 날씨에 관련된 다양한 무료 API를 제공한다.

유료 결제시 제한된 기능들도 사용할 수 있는 듯하나, 무료로 오픈된 것도 충분히 많은 듯 했다.

 

가입 후 로그인하고, 메일 인증을 한다음 "My API keys"를 눌러서 나에게 부여된 API키를 확인한다.

"API"메뉴를 눌러 여러가지 API중 쓰려는 API의 문서를 확인한다.

문서를 확인하고 예를 들어 아래의 내용으로 request한다는 내용이 나와있다면

https://api.openweathermap.org/data/2.5/weather?id={city id}&appid={API key}

해당 API로 개발을 시작하기 전에 브라우저에 검색창에 입력해서 정상적으로 입력이 돌아왔는지 먼저 확인할 수 있다.

(추가로 JSON Viewer을 다운받으면 아래같이 예쁘게 개행 + 컬러로 확인할 수 있다.)

 

🛑 응답이 똑바로 돌아오지 않고 API key를 확인해달라고 한다면, 30분~1시간 정도 기다렸다가 다시 해본다! (정상적으로 이용하는 데까지 시간이 걸린다고 한다.)

이 내용을 Postman 에서도 이용해보면 동일한 결과를 얻어올 수 있다.


👀 그 밖의 Postman의 기능

 

자체 변수를 사용해서 날짜를 넣거나, 자주쓰는 값을 변수로 설정해서 중괄호에 넣어서 사용할 수도 있다.

 

 

API로 부터 정보를 전달해주는 Post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