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 정보 입력하기
처음 git을 다운받았다면 사용자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 git config --global user.name "나의 사용자 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내 이메일 주소"
- --global 옵션으로 설정하면, 사용자 홈에 저장되므로 git을 설정할 때 처음에 단 한 번만 입력해도 된다. 나중에 github의 사용자 이름이나 이메일을 변경한다면, 이 명령어를 다시 입력해야 한다.
- 만약 여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어서, 프로젝트마다 다른 사용자 이름과 이메일 주소를 사용하고 싶으면 --global 옵션을 빼고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기본 텍스트 에디터 변경하기
Git에서 커밋 메시지를 기록할 때, 특히 merge commit 확인 메시지가 나올 때 텍스트 에디터가 열린다. 이때 기본값으로 텍스트 에디터 vi가 열리는데, vi 에 익숙하지 않다면, nano로 변경하는 편이 좋다.
git config --global core.editor nano
🔐SSH란
SSH란 Secure Shell의 줄임말로, 안전하게 명령어를 이용하여 내 컴퓨터와 다른 컴퓨터를 연결하는 통신규약 혹은, 그를 이용하는 프로그램을 이르는 말이다.
SSH Client는 내 앞에 있는 컴퓨터, SSH Server는 먼 곳에 있는 컴퓨터를 말한다. SSH Client로 분류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서 SSH Server가 있는 컴퓨터를 내 집에서 제어 할 수 있다. 그리고 SSH Client,SSH Server를 다 뭉뚱그려서 통칭 SSH라고 부른다.
Secure Shell의 쉘(Shell)이란, 쉘이란 명령어를 이용해서 컴퓨터를 제어하는 방식을 말한다.
Secure Shell 에서 안전 secure이 붙는 이유는, 이전까지 이용하던 방식(Telnet 등)이 평문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기 때문에 중간에서 누군가 비밀 정보들을 쉽게 가로챌 수 있었다. 비밀번호나 카드 정보 등이 모든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태로 주고받아져서 엿보기가 쉽다는 것!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SSH가 등장! SSH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암호화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게 되어있기 때문에, 가로채도 이해할 수가 없어 훨씬 안전하다.
😰윈도우에서 SSH Client가 되려면 별도의 프로그램 받아야함
리눅스와 Mac과 같은 Unix 계열의 운영체제는 기본적으로 SSH Client가 설치되어 있어 SSH를 이용하기 위해서 별도의 SSH Client프로그램을 다운받을 필요가 없지만, window에서는 SSH Client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설치해야 Unix 계열의 운영체제를 제어 할 수 있다. 대표적인 SSH 클라이언트는 프로그램은 PuTTy, Xshell 같은 것들이 있다.
😰윈도우는 기본적으로 SSH Server가 될 수 없다
SSH는 Unix 계열의 운영체제를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이다. 그렇기 때문에 원격지에 있는 윈도우 운영체제를 SSH로 제어 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다. 윈도우에는 클라이언트 운영체제로 사용할 수 있을 뿐이다.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에서는 OpenSSH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OpenSSH는 SSH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포함한다. Mac은 SSH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이미 설치 되어 있기 때문에 SSH를 이용하기 위해서 특별한 조치는 필요하지 않다.
하지만! 윈도우에서 SSH Server를 쓰려면 리눅스를 먼저 설치하고 Open SSH를 설치해야하는 모양이다. 복잡하기 짝이 없다. 정말 이쯤되면 맥북을 안살수가 없어보인다.
🔐SSH키 생성하고 깃헙에 등록하기
커맨드 창에서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SSH키를 생성할 수 있다.
ssh-keygen
이렇게 생성되는 SSH키는 두가지의 키를 ~/.ssh./ 에 만든다. id_rsa 와 id_rsa.pub이 그것들인데, 이 두가지를 합쳐서 ssh키 페어라고 한다.
ssh키 페어 = id_rsa + id_rsa.pub
이 중 id_rsa.pub는 누구에게나 공개해도 되는 공개키(Public Key)이며,
id_rsa는 공개되면 안 되고 나만 보관하고 있어야 하는 키라고 하여 개인키(Private Key) 또는 비밀키(Secret Key) 라고 한다.
이제 다음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공개키를 열어보고 복사해서 깃헙에 등록하면 된다.
cat ~/.ssh/id_rsa.pub
- 깃헙 우측 프로필을 클릭 > settings
- SSH and GPG keys 클릭
이미 등록한 키가 있다면 확인할 수 있고, New SSH Key를 누르면 새로운 키를 발급 받을 수 있다.
만약 정상적으로 SSH Key 등록이 되었다면 원하는 깃헙 원격 리포지토리를 clone받아서 쓸 수있다.
'개념 > 기초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네트워크] 기초개념 - IP, PORT(포트) (0) | 2022.08.04 |
---|---|
[HTTP/네트워크] 기초개념 - URL/URI (0) | 2022.08.04 |
[HTTP/네트워크] 기초개념 -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 API (0) | 2022.08.04 |
macOS 터미널로 개발 시작하기 (0) | 2022.07.07 |
맥북 살거 아니면 우분투를 설치하라고? (0) | 2022.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