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기초지식
[HTTP/네트워크] 기초개념 - Domain과 DNS
칠뎁
2022. 8. 4. 15:33
📍 IP 주소가 어려우니까 domain으로 찾아가기
IPv6주소는 숫자와 닷(.)으로 이루어져있고, IPv6 주소는 숫자와 클론(:)으로 이루어져있다.
때문에 우리가 숫자를 외워서 IP에 해당되는 pc를 찾아간다면 너무 힘들것이다.
그래서 나온게 domain!
domain은 상호나 건물명같이, IP(도로명주소)를 우리가 외우기 쉽게 바꾼 것이다.
nslookup [도메인]을 해보면 Name자리에 뜨는게 바로 도메인이다.
우리는 주소창에 domain인 google.com을 사용해서도 구글에 들어갈 수 있지만,
IP주소로도 구글에 접속할 수 있다.
🏖 도메인은 대여해서 사용한다.
로컬PC를 나타내는 127.0.0.1말고 다른 도메인은 일정기간동안 대여를 하고 사용한다.
마치 내가 "오늘의 커밋"이라는 슈퍼를 열고 상표권을 등록하듯이,
도메인도 등록을 해서 일정기간동안 점유하는 것이다.
💡 도메인으로 IP주소를 확인하는 DNS
DNS(Domain Name System)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도메인 이름(예: www.amazon.com)을 머신이 읽을 수 있는 IP 주소(예: 192.0.2.44)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말한다.
아래는 도메인을 주소창에 입력했을 때 DNS를 거치는 과정이다.
1.google.com입력
2.DNS에서 도메인과 매칭되는 IP주소 찾음
3.이 IP주소에 해당하는 웹 서버에 요청 전달
4.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 가능해짐